경상북도란?(Gyeongsangbuk-do)
경상북도는 기원전부터 삼한의 하나인 진한이 자리 잡은 곳이며, 삼국을 통일하여 천년 왕조와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신라 의 본토였다. 고려 충숙왕 원년인 1314년에 처음으로 경상도로 불리어지고, 조선조 고종 33년인 1896년 13도로 재편되면서 경상북도라 불리어졌으며, 1914년 부ㆍ군ㆍ면의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오늘날의 행정구역이 형성되었다.

경북의 역사
삼한시대
오랜 역사의 기록에 의하면 우리 도는 옛날 한(韓) 혹은 진(辰)의 땅이었으나 그 뒤 한(韓) 또는 진(辰)은 분리되어 남부는 변한(弁韓) 또는 변진(弁辰)이 되고, 북부 즉 우리 도의 대부분은 현 경상북도 낙동강 동부의 지방과 함께 진한으로 되었다. 당시 이 지방은 북부 예(濊)(현 강원도 남부)에 접하고 서쪽은 마한(馬韓)(충남・전라지방)에 접하고 있었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가 함께 일어남에 있어서 신라가 낙동강 우안 지방과 연해를 차지한 가야(伽倻)의 고을을 멸하고 진, 변 두 곳을 병합하였으며 그 후 차차 융성하여 3국을 통일함에 이르러 현 경상북도 지방에 상, 양, 강의 3주를 두게 되었으며 우리 경북지방은 상주, 양주(지금의 양산)의 통치하에 속하였다.
고려시대
3주 즉 양도의 지방을 병합하여 동남도 부석사라 하고 그 후 차차 변경하여 영남, 영동 혹은 경상 진주, 경상 진능의 도로 하였으나 충숙왕 원년(1314)에 경상도라 하였음.
조선시대
1520년 : 낙동강을 경계로 하여 좌우 양도로 나누어짐. 그 뒤에도 수차 양도의 분합을 하였으나 현재 우리 도의 구역은 당시의 좌도의 대부분과 낙동강 유역에 잇닿은 우도의 일부를 포함한 것임.
1895년 05월 26일 : 칙령 제98호(1895. 5. 26 공포)로 23부제 실시에 따라 대구부와 안동부를 두고 동해안 일부지방이 동래부의 관할이 됨.
1896년 08월 04일 : 칙령 제36호(1896. 8. 4 공포)로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라 칭하고 대구에 관찰사를 두어 41군을 관할함.
1914년 03월 01일부, 군, 면 폐합 (1부 22군 1도)
1949년 08월 15일대구, 포항, 김천이 시로 승격, 울릉도를 군으로 개칭 (3시 23군)
1955년 09월 01일경주읍이 시로 승격 (4시 23군)
1963년 01월 01일안동읍이 시로 승격, 울진군이 강원도로부터 편입 (5시 24군)
1966년 04월 01일도청사가 대구시 중구 포정동에서 북구 연암로 40으로 이전
1978년 02월 15일구미읍이 시로 승격 (6시 24군)
1980년 04월 01일영주읍이 시로 승격 (7시 24군)
1981년 07월 01일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분리, 영천읍이 시로 승인 (7시 24군)
1986년 01월 01일상주읍과 점촌읍이 상주시와 점촌시로 승격 (9시 24군)
1989년 01월 01일경산읍이 시로 승격, 월성군을 경주군으로 개정 (10시 24군)
1995년 01월 01일
20시군 통합 (10시 14군)
포항시ㆍ영일군이 통합하여 포항시로
경주시ㆍ군이 통합하여 경주시로
김천시ㆍ금릉군이 통합하여 김천시로
안동시ㆍ군이 통합하여 안동시로
구미시ㆍ선산군이 통합하여 구미시로
영주시ㆍ영풍군이 통합하여 영주시로
영천시ㆍ군이 통합하여 영천시로
상주시ㆍ군이 통합하여 상주시로
점촌시ㆍ문경군이 통합하여 문경시로
경산시ㆍ군이 통합하여 경산시로
(10市 14군 2구 1출장소 32읍 215면 133동)
1995년 03월 01일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 (10시 13군 2구 1출장소 32읍 206면 136동)
김천시 아포면이 아포읍으로 승격
1997년 11월 01일구미시 고아면이 고아읍으로, 경산시 진량면이 진량읍으로 각각 승격 (10시 13군 2구 1출장소 34읍 204면 131동 18읍면출장소)
1998년 01월 01일
김천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4개동 폐지(1997.9.25.공포) / 34읍 204면 127동
용호동과 모암동을 통합하여 용암동으로
황금동과 양천동을 통합하여 양금동으로
미곡동과 부곡동을 통합하여 대곡동으로
대응동과 신음동을 통합하여 대신동으로
1998년 09월 01일
포항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6개동 폐지(1998.6.29.공포) / 34읍 204면 121동
대흥동과 덕수동, 중앙동, 동빈동 일부를 통합하여 중앙동으로
대신동과 항구동, 학산동, 동빈동 일부를 통합하여 학산동으로
용흥1동과 용흥2동을 통합하여 용흥동으로
김천시 대신동과 금산동을 대신동으로 통합(1998.9.1.공포) / 34읍 204면 120동
1998년 10월 12일상주시 동문동과 중앙동을 동문동으로 통합(1998.10.12.공포) / 34읍 204면 119동
1998년 10월 15일
영주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4개동 폐지(1998.10.9.공포) / 34읍 204면 115동
상망동과 하망1동을 통합하여 상망동으로
하망2동과 하망3동을 통합하여 하망동으로
영주1동, 영주2동, 영주3동을 통합하여 영주1동으로
영주4동을 영주2동으로 명칭 변경
1998년 10월 20일
영천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4개동 폐지(1998.10.2.공포) / 34읍 204면 111동
중앙동과 오산동, 대전동 일부(오미동)을 통합하여 중앙동으로
교동과 대전동(오미동 제외)를 통합하여 서부동으로
주남동과 봉작동, 영도동을 통합하여 남부동으로
1998년 11월 14일
경주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4개동 폐지(1998.11.4.공포) / 34읍 204면 107동
역내동과 중앙동을 통합하여 중부동으로
인교동과 도동동(평동 제외), 보황동을 통합하여 월성동으로
불국동과 정래동, 도동동 일부(평동)을 불국동으로
1998년 11월 14일
안동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3개동 폐지(1998.11.27.공포) /34읍 204면 104동
중구동과 동구동을 통합하여 중구동으로
용성동과 송천동을 통합하여 용상동으로
서구동과 강남동을 통합하여 서구동으로
1999년 01월 01일문경시 신기동과 대성동, 공평동(모전동 일부)을 신평동으로 통합(1998.12.26.공포) / 34읍 204면 103동
1999년 03월 02일
구미시 행정동 통ㆍ폐합으로 3개동 폐지(1998.3.2.공포) / 34읍 204면 100동
원평2동과 원평3동을 통합하여 원평2동으로
선주동과 원남동을 통합하여 선주원남동으로
사곡동과 상모동을 통합하여 상모사곡동으로
2000년 01월 01일김천시 성내동과 남산동을 성내동으로 통합(1999.12.31.공포) / 34읍 204면 99동
2003년 07월 01일칠곡군 북삼면이 읍으로 승격(2003.7.1.공포) / 35읍 203면 99동
2004년 10월 18일경산시 서부동을 서부1동과 서부2동으로 분동(2004.10.18.공포) / 35읍 203면 100동
2006년 10월 01일칠곡군 석적면을 석적읍으로 승격(2006.9.29.공포) / 36읍 202면 100동
2007년 06월 27일영양군 청기면 당리출장소 폐지(2007.6.27.공포) / 36읍 202면 100동 17출장소
2008년 09월 29일안동시 풍천면 어담출장소, 예안면 삼계출장소, 도산면 서부출장소 폐지(2008.9.29.공포) / 36읍 202면 100동 14출장소
2008년 09월 30일
김천시 행정동 통합(2008.9.25.공포) / 36읍 202면 99동
용암동과 성남동의 법정동인 성내동을 자산동으로
평화동과 성남동의 법정동인 남산동을 평화남산동으로
2009년 01월 01일
포항시 행정동 통합(2008.12.30.공포) / 36읍 202면 95동
남구 상대1동과 상대2동을 남구 상대동으로
남구 해도1동과 해도2동을 남구 해도동으로
북구 중앙동과 학산동을 북구 중앙동으로
북구 죽도1동과 죽도2동을 북구 죽도동으로
2009년 01월 05일
경주시 행정동 통합(2009.1.5.공포) / 36읍 202면 93동
성동동과 황오동을 황오동으로
탑정동과 황남동을 황남동으로
2010년 01월 01일포항시 대보면을 호미곶면으로 명칭 변경(2009.12.29.공포) / 36읍 202면 93동 14출장소
2015년 04월 02일고령군 고령읍을 대가야읍으로 명칭 변경(2015.3.5. 공포)
2015년 04월 21일울진군 서면을 금강송면으로, 원남면을 매화면으로 명칭 변경(2015.4.21.공포)
2016년 03월 10일대구시 북구 연암로 40에서 현위치(경북 안동시 도청대로 455)로 도청사 이전
2016년 05월 27일예천군 상리면을 효자면으로, 하리면을 은풍면으로 명칭 변경(2016.5.27. 공포)
2016년 10월 31일영주시 소백산면을 단산면으로 명칭 변경(2016.10.31. 공포)
2019년 03월 01일청송군 부동면을 주왕산면으로 명칭 변경(2019. 3. 1. 공포)
서쪽부 : 캠브리안기(약 6억년전) 이전에 형성된 소백산 지괴
중앙부 : 중생대 백악기(약 1.3 ~ 0.6억년)의 경상부
동쪽부 : 신생대 3기에 형성된 포항분지
지형
태백ㆍ소백산맥과 그 지맥 그리고 낙동강과 그 지류들에 의해 크고 작은 분지와 평야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외부와의 교통이 불편하였기 때문에 외래문화 유입은 한반도의 타지역에 비해 늦어진 원인이 됨.
구석기시대
한반도에는 약 50 ~ 60만년 전부터 인류의 출현시기로 봄
도내 구석기 유물은 '80년 칠곡군 석적면 중동유적이 처음 발굴된 후 안동과 청송, 의성 금성산 일대, 포항, 상주 등 발굴
중기(상주, 칠곡), 후기(안동, 청송, 포항)
참조경북지역에 살았던 구석기인들을 우리의 조상으로 보는 견해는 아님
신석기시대
강가(김천, 청도)나 해안(경주, 울진) 중심
우리나라 약 1만년 전부터 신석기인들이 한반도로 이주
'93년 청도 운문천 주변 암음유적, 경주 황성동ㆍ양남면 유적, 김천시 송죽리, 울진 평해유적 등
곳곳에서 정착 생활해 왔던 것으로 유적을 통해 확인
참조신석기 후기부터 도내 전역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알 수 있으나 오늘날 경북사람들의 직접 조상으로 보기는 어려움
청동기시대
농경과 목축으로 정착생활
기원전 4천년 ~ 기원전 1천년 사이에 시작
청동기 대표적 유물인 고인돌은 경북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매우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는 암각화는 고령 양전리, 포항 칠포리, 영주 가흥동, 안동 수곡면, 경주 석장동 등의 유적은 한국 암각화의 보고라 할 수 있음
읍락국가
- 국가성립의 이전 단계
- 철기시대(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 신라, 가야가 통합되기 이전의 시기로서 많은 읍락국가가 형성
- 사로국(신라의 전신), 음즙벌국(안강지역), 이서국(청도부근), 압독국(경산), 달구벌국(대구), 소문국(의성), 감문국(김천), 사벌국(상주), 반로국(고령) 등이 서로 경쟁하며 발전
-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누어지며, 벼 재배를 통해 의식주 생활, 천신 및 조상숭배가 행해졌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