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란?
한국의 청년층에게 최대 1억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저축계좌입니다. 소득에 따라 10만원 ~ 40만원을 지원합니다.
신청 자격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가입자의 연 소득별로 지원되는 장려금이 상이함
연 소득 2400만원 이하 : 월 한도 30만원, 지원금 40만원
연 소득 2400만원 이상 3600만원 이하 : 월 한도 50만원, 지원금 20만원
연 소득 3600만원 이상 4600만원 이하 : 월 한도 60만원, 지원금 10만원
연 소득 4600만원 이상 : 월 한도 70만원, 지원금 없음, 비과세 소득공제
지원 내용
위 소득별 장려금이 지원되면 10년 만기 시 1억원 마련을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 및 시기
청년도약계좌 출시가 확정되면서 아직 정확한 시기 및 방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전국 지자체를 통해 진행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직 본격적인 계좌 사업을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
1억원이나 만들어준다는 청년도약계좌 왜 사람들 사이에서 논란이 많을까요?
윤석열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에으로는 청년장기자산계좌는 청년이 소득 수준에 따라 매달 30만∼7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비과세·소득공제 혜택 또는 정부기여금 10만∼40만원을 보태 매달 70만원을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입니다. 그러나 공약대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연 3.5%(복리 적용)금리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가입자 개인별 선택여부에 따라 장기자산계좌를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으로 다양하게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생애 최초 주택 구입이나, 장기 실직, 질병에 의한 장기 휴직, 재해 같은 사정이 있을 땐 중도 인출과 재가입도 허용한다고 했습니다. 아직까지 세부 안이 나온 상태는 아니지만 최근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처럼 청년층의 대폭적인 관심과 가입이 이뤄진다면 금리를 보장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할수도 있다는 우려가 큽니다. 가입자수 증가에 따른 손해는 은행들이 떠안아야 하기때문에 많은 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 사업을 진행할지도 미지수입니다. 계좌 가입 대상 범위가 넓고, 정상 금리보다 조건없이 높은 금리가 은행사 입장에서는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가입자 입장에서도 10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매월 30만원~70만원을 저금할 수 있는지도 관건입니다. 중도 해지 또는 중도 인출 사례가 많을 것이라는 예상이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또한 한 달만에 가입자 2만여명이 중도해지를 했기 때문입니다.
댓글